티스토리 뷰
목차
2023년도 한부모 지원금 자격 및 조건, 신청방법
한부모 가정 1인당 월 20만 원의 아동양육비 (청소년이 학부모인 경우, 1인당 월 35만 원의 아동양육비 지원가능)
한부모가정 지원금 즉,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사업은 한부모가정 중 저소득 가정의 경우 양육비, 학용품비, 생활보조금 등을 지원받을 수 있는 지원 사업이다.
신청방법
거주지역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https://bokjiro.go.kr
*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가능합니다!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
www.bokjiro.go.kr
지원대상
1. 부 또는 모가 만 18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가정(한부모 가족)
2. 만 24세 미만의 부 또는 모가 만 18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가정(청소년 한부모 가족)
3. 할아버지 또는 할머니가 만 18세 미만의 손자를 양육하고 있는 가정(조손가족)
한부모가정 또는 청소년한부모가정 지원 혜택
한부모가정의 경우
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가정은 1인당 월 20만 원의 아동양육비를 지원받을수 있으며, 조손가족 또는 만 35세 이상의 미혼 한부모가족의 만 5세 미만의 아동은 1인당 월 5만 원의 추가아동양육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 만 25세 ~ 34세의 청년 한부모가족의 만 5세 아동은 1인당 월 10만 원, 만 6세~18세 미만의 아동 1인당 월 5만 원의 추가 아동양육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중학생 ~ 고등학생 자녀의 경우 1인당 연 93,000원의 학용품비를 지원 받을 수 있고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에 입소한 가족의 경우에는 가구당 월 5만 원의 생활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.
청소년한부모가정의 경우
만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가정은 1인당 월 35만 원의 아동양육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자립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학부모 대상 가구의 경우 월 10만원씩 자립촉진수당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경우에는 학습비, 학용품비를 가구당 연 154만 원 한도 내에서 최대 2년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지원기준
한부모가족 및 조손가족(부 또는 모의 연령이 만 25세 이상)
- 선정기준(한부모가족 증명서 발급대상) :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
- 복지급여 지급기준 :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
청소년 한부모(부 또는 모의 연령이 만 24세 이하)
- 선정기준(한부모 가족 증명서 발급대상) : 기준 중위소득 72% 이하
- 복지급여 지급기준 : 기준 중위소득 65% 이하
※ 2023년 지원가구별 소득인정액 기준 (단위: 원/월)
가구원수 | 2023년 | ||
한부모 및 조손가족 | 청소년 한부모 가족 | ||
기준 중위소득 60% | 기준 중위소득 65% | 기준 중위소득 72% | |
2인 | 2,073,693 | 2,246,501 | 2,488,432 |
3인 | 2,660,890 | 2,882,630 | 3,193,068 |
4인 | 3,240,578 | 3,510,627 | 3,888,694 |
5인 | 3,798,413 | 4,114,947 | 4,558,095 |
6인 | 4,336,789 | 4,558,095 | 5,204,146 |
소득인정액 기준
소득인정액 = 소득평가액 + 재산의 소득환산액
▶ 소득평가액 = 실제소득 - 가구특성별 지출비용 - 근로소득공제
- 실제소득 : 근로소득, 사업소득, 재산소득, 공적이전소득, 사적이전소득, 지원기관 확인 소득
▶ 재산의 소득환산액 = (일반, 금융재산의 종류별 가액 - 기본재산액 - 부채 + 자동차 재산가액) × 재산의 종류별 소득환산율
- 재산의 종류 : 일반재산(주거용재산), 금융재산, 자동차, 기타 산정되는 재산
- 기본재산액 : 서울(9,900만원), 경기(8,000만 원), 광역/세종/창원(7,700만 원), 그 외 지역(5,300만 원)
- 소득환산율 : 주거용 재산(월 1.04%), 일반재산(월 4.17%), 금융재산(월 6.26%), 자동차(월 100%)
부양의무자 기준
부양의무자 기준 없음
심사절차
신청 - 통합조사(소득, 재산, 근로능력 등) - 지원결정 - 통지 - 급여서비스(지급) - 변동관리 - 지급 계속 또는 중지
제출서류
① 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 제공(변경) 신청서
② 소득ㆍ재산 신고서
③ 금융정보 등 제공동의서
④ 청소년한부모자립지원 제공신청서 (청소년한부모에 한함)
⑤ 가족관계기록에 관한 증명서
(가족관계기록에 관한 증명서로 부양의무자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적등본)
⑥ 임대차계약서 (해당자에 한하여 제출)
⑦ 외국인등록사실증명서 (해당자에 한하여 제출)
'복지 및 지원금제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만 70세 이상 어르신이면 누구나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하세요! (0) | 2023.09.22 |
---|---|
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금 신청하세요! (1) | 2023.09.21 |
청년도약계좌로 1억 만들기! (0) | 2023.09.11 |
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 (0) | 2023.09.10 |
에너지 바우처 12월 29일까지 신청하세요! (0) | 2023.09.10 |